발행인 칼럼
홈으로 발행인 칼럼
판문점에서
04/23/18  
판문점에 다녀왔다. 30여 년 만이다. 판문점은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남북한 군사 분계선이 걸친 지역에 있다. 1951년 10월 한국 전쟁의 휴전을 위해 유엔군 측과 북한군 측이 회담을 한 장소이며, 지금은 유엔군과 북한군의 군사정전위원회와 군사 연락 장교 회의가 열리고 있다.
 
 
오늘 안내하는 병사는 연령상으로 볼 때 30여 년 전 안내하던 병사의 아들 정도일 것이다. 김 일병은 검은 선글라스를 끼고 시종일관 지시만 했다.
 
 
“이곳에서는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북쪽을 향해 손가락질하지 마십시오.”
 
“북측 경비병들에게 말을 걸지 마십시오.”
 
“두 줄로 따라 오십시오.”
 
 
30여 년이 흘렀지만 달라진 것이라고는 없었다. 움직이는 병사들은 북측 남측 할 것 없이 과장된 걸음걸이로 경직되어 있었다. 또 부동자세로 상대를 경계하며 서있는 병사들 역시 긴장감을 조성시키는데 일조하고 있었다. 아무 것도 변한 것이 없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김일성, 김정일이 세상을 떠났고 그들의 손자요 아들인 김정은이 지도자가 되었다는 것밖에. 아, 한 가지 있다.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으로 부르는 건물이 과거보다 훨씬 크게 현대식 건물로 바뀌어 있었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판문점은 관광지화 되어 있었다. 수많은 버스들이 도착하여 관광객들을 쉬지 않고 쏟아내고 있었고, 병사들은 천편일률적인 방식으로 그들을 안내했다. 버스에서 내린 부녀자들, 초중고등학교 학생들, 외국인 등 나이와 국적을 초월한 수많은 사람들이 줄지어 병사들을 따라 이동하고 있었다. 사진촬영이 허용된 지역에서 분주히 사진을 찍었으며, 다음 코스로 이동할 때는 언제나 두 줄이었다. 병사들의 지시는 절대적이었다.
 
 
30여 년 전 판문점을 방문했던 당시 분단국가였던 동서독은 통일되었고 지금 독일은 동독 출신의 메르켈 총리가 나라를 이끌고 있다. 그런데 한반도는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은 상황이다. 아니 어쩌면 더 심각한 상황인지도 모른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핵 보유 국가가 되었으며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는 등 위협적인 군사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온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북한으로 인한 긴장은 이제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사회로 번지고 있다.
 
 
지난 달 있었던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북한이 보여준 또 다른 얼굴이다. 그 본의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은 전문가에게 맡기더라도 채찍과 당근을 번갈아 주면서 한국을 길들이기 하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렇다고 그 의미를 축소할 생각은 전혀 없다. 이런 인도적인 차원의 교류를 포함한 민간 교류가 활성화될 때에 통일의 물꼬가 터지지 않을까하는 기대 때문이다.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열렸던 남북노동자축구대회나 지난 6월부터 진행되고 있는 고려 왕궁터인 개성 만월대 유적에 대한 남북 공동 발굴 조사와 같은 민간단체, 학술단체들의 활발한 교류는 그런 의미에서 매우 가치 있는 일이다. 남북 동질성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정부가 주도한 일회성 행사보다도 민간, 경제, 학술단체 등이 참여하는 남북 교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런 민간 차원의 교류는 궁극적으로 민간인들의 자유로운 남북 왕래로 이어져야 한다.
 
 
북한 정권이 하루아침에 붕괴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북한 사회는 이미 그 나름의 질서와 체제를 갖추고 있고, 정권을 뒷받침하고 있는 기득권 세력들이 체제 전복을 바라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치적인 결단에 의한 통일이나 무력을 동원한 강제적인 통일보다는 자유로운 민간 교류를 통해 그동안 갈라져 살아온 세월만큼 이질화된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것이 오히려 통일의 문을 여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30년이 지난 후에 다시 판문점을 찾을 계획이다. 그때 나이가 몇인데 판문점을 다시 찾겠는가 걱정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때 오늘 안내하는 병사의 아들 또래의 병사가 안내하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
 
 
“이곳은 남북한이 회담 장소로 이용하던 곳으로 우리 현대사의 소중한 현장으로 보존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저기에 남북한 경계가 있었으며 그 경계를 사이에 두고 북한 병사와 남한 병사가 서로 마주보고 서 있었습니다. 그때 여러분들이 이곳을 찾았더라면 지정된 곳 외에는 사진 촬영을 마음대로 할 수 없었으며 저 경계를 넘어 갈 수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통일된 지금, 우리는 자유롭게 왔다갔다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 마음껏 즐기십시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