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기
01/10/22  

크리스마스 무렵 집에 온 딸이 해가 바뀌자 기다렸다는 듯이 집안 정리를 좀 해야겠다며 방마다 다니며 버릴 것을 골라 놓기 시작했다.

 

딸이 그래도 아빠에 대한 예의(?)로 이거 버려도 괜찮냐? 이걸 더 입으려고 하느냐? 가끔 묻기도 하면서 버릴 것을 골라내고, 옷들을 종류 별로 정리하기 시작했다. 양복은 양복대로 재킷은 재킷대로 와이셔츠, 넥타이, 티셔츠, 혁대, 모두 가지런히 한 곳으로 모아서 정렬해 놓았다. 그리고 버릴 옷들은 그냥 쓰레기통에 버릴 것이 아니라 헌옷을 파는 곳에 갖다 주자고 했다. 그곳에서는 수익금을 어려운 사람을 돕는 일에 쓴다고도 했다.

 

반나절을 이방 저방 다니며 정리하더니 큰 박스로 여섯 박스 이상을 모아 놓았다. 차를 마시며 잠시 쉬고 난 딸은 책장 안에 꼽아둔 채로 있는 책들도 버리라고 했다. 읽지도 않는 책을 왜 이리 많이 모셔 두고 있냐고 했다. 잠시 망설였다.

 

중학교에 입학하던 해 어머니께서 큰맘 먹고 사주셨던 한국 문학전집, 교사시절 누군가의 부탁으로 들여 놓고 다달이 부었던 31권짜리 동아대백과 사전, 미국에 오기 전에 작가로부터 직접 받은 태백산맥, 아이들 어려서 사주었던 세계 동화 전집, 위인전 등 전집류부터 각종 인문학 서적, 소설책 등, 마지막으로 꺼내 읽은 적이 언제인지 모르겠다. 그러나 버리기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버리기로 했다.

 

웬만하면 다 버리려 했지만 일부 책들은 버릴 수가 없었다. ‘대망(大望)’ 속편, 조정래의 ‘태백산맥’, 이문열의 ‘초한지’, 태백산맥은 10권 중 3권이 없었다. 누군가가 빌려가서 돌려주지 않은 모양이다. 그런데도 버릴 수가 없었다.

 

특히 ‘대망’ 속편 12권은 사연이 담긴 책이다. 대학에 입학하던 해, 학교 도서관에서 대망을 빌려다 읽기 시작했다. 1권부터 20권까지 다 읽었다. 그것도 한 번이 아니라 두 번, 세 번.

 

박정희에 의해 유신이 선포되고, 유신 반대 데모가 한참이던 때였다. 책 속에 빠져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신문을 읽다가 대망 속편 12권이 출판되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바로 대학 도서관에 책을 구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 도서관 직원은 기다리라고 했다. 두어 달 기다렸으나 도서관에 책이 들어오지 않았다.

 

책을 내 돈으로 구입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수중에 그렇게 큰돈이 있을 턱이 없었다. 돈을 마련하기로 했다. 당시 수유리 일대에 주택 건설이 한창일 때였는데 동네 친구 중에 타일 붙이는 일을 하는 H라는 친구가 있었다. H에게 일을 하겠다고 하니 자기 형 Y를 소개해주었다. 그 형이 타일 일하는 사람들에게 일감을 가져다주었는데 나를 자기 동생 데모도(보조)로 붙여 주었다. 짐을 옮기거나 세멘, 모래 등을 타일 작업을 하는 친구에게 옮겨다 주는 아주 단순한 일이었다. 그렇게 일주일 일 했으나 그 돈으로는 책을 사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Y 형에게 부탁했다. 내가 책을 사려고 하려는데 돈이 턱없이 부족하다. 돈 좀 빌려 달라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반드시 갚겠다. 그렇게 힘들게 일해서 번 돈과 Y가 빌려준 돈으로 산 책이다. 도저히 버릴 수가 없었다.

 

H와 Y를 그 후로도 몇 차례 더 만났을 거다. 그러나 Y는 내게 돈을 돌려 달라고 하지 않았다. 돈벌이를 시작한 뒤로는 그를 만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아직도 갚지 못하고 있다.

 

책장에 꽂혀 있는 대망 속편 12권을 볼 때마다 50여 년 전의 그때가 마치 엊그제 일처럼 뚜렷하게 떠오른다. H, Y 형제를 한 번 만나고 싶다. 빌린 돈도 갚고, 맛있는 식사도 대접하고 싶다.

 

감상에 빠져있는 동안 딸은 버릴 책들을 박스에 차곡차곡 정리해 담아 놓았다. 온 집안 구석구석을 깨끗이 정리한 후, 헌옷 파는 가게 앞에는 헌옷을, 도서관 앞에는 책을 쌓아 놓고 돌아왔다. 새해 벽두에 딸과 함께 온 집안을 정리하고 나니 묵은 체중이 내려간 듯 한결 마음이 가벼워졌다.

 

딸과 함께 정리를 하면서 깨달았다. 정리는 단순히 물건을 버리는 일이 아니다. 나의 과거를 정리하며, 현재의 상태를 돌아보는 일이다. 정리의 시작은 ‘버리기’이다. 다시 어질러진 상태로 돌아가지 않으려면 철저히 버려야 한다. 물건을 버리지 않고 자리만 바꿔주는 것은 정리가 아니다. 일본의 수납정리 전문가 곤도 마리에도 말했다. “정리의 첫 번째는 물건을 버릴지 남길지 결정하는 일이다. 그 다음에 남은 물건 둘 곳을 정하면 된다.”

 

딸이 떠나는 날, 공항에 내려주고 오면서 발 디딜 틈 없이 난장판이었던 딸아이의 옛날 방이 떠올라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안창해. 타운뉴스발행인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