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 주체는 국민이다
10/01/18  

9월 20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백두산에서 두 손을 맞잡았다.

 

그후 일주일도 되기 전에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변화에 따른 국제사회의 책임을 강조했다. 즉 북한이 스스로 평화의 길을 선택한 만큼 그에 따르는 국제사회의 적절한 보상이 뒷받침 되어야 북미 비핵화 대화가 탄력을 받아 진전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자리에서 "북한이 스스로 평화의 길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스스로를 고립과 몰락으로 이끄는 무모한 선택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북한의 변화를 촉구하며 평화의 길을 스스로 선택하라고 주문했던 문 대통령으로서 '결자해지'의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남북 정상의 백두산 천지 회동’을 전세계 신문에서 대서특필하고 방송에서 집중 보도 한 바 있으며, 이어서 열린 유엔총회에서 있었던 한미일 정상의 연설을 무게있게 다루고 있다. 한미일 삼국 정상들의 발언이 각국의 입장에서 자국의 이익을 위한 내용으로 일관하고는 있지만 한 가지 공통적으로 언급한 것은 북한과의 대화에 관한 내용이었다. 남북한의 화해를 언급하면서 일본은 일본대로 북일 정상회담을, 또 미국은 미국대로 싱가폴 회담이후에 경색되었던 북미 관계를 복원시키려는 화해를 위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과연 이러한 기운이 계속 이어져 남북 관계가 증진되고 북미, 북일 관계가 개선되어 종전 선언이 연내에 이뤄지고 항구적인 평화를 통해 남북통일로까지 이어질 것인가. 전세계는 아직도 의구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한국인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내가 만나본 한국인들 대부분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백두산 천지 방문은 매우 감격적이었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남북화해와 평화로 가는 길이 순탄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믿고 싶어하는 경향이 역력해졌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위원장의 제 2차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기대가 높아졌다. 그러나 일부 국민들은 ‘비핵화 진전과 남북관계 개선이 비대칭적인 상황에서 관계 개선을 지나치게 서두르지 않는가’우려하고 있었으며,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그 정도가 심했다.

 

어떤 이들은 말했다. 과연 대한민국 정부가 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한 통일을 원하는지 모르겠다고. 또 국가 체제가 무엇이 되었든지 상관없이 무조건적인 통일을 원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도 했다. 즉 통일이 사회주의를 근간으로하는 통일이 될 수도 있지 않은가하는 의문을 감추려 하지 않았다.

 

심지어 문재인 정부를 빨갱이 정부라고 극단적인 표현을 써가면서 노골적으로 비판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사석에서 만난 6~70대의 남성들 대부분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남북 대화 자체를 국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문 정부가 자기들의 뜻대로 마구잡이로 추진하고 있다며 현 집권당의 정체성 자체를 공산주의 사회주의 정당이라고 규정하며 통탄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힘으로 어쩔 수 없으니 바라다 보기만 한다며 어떻게 되겠지 하는 생각들을 갖고 있었다.

 

우리들이 통일을 원하면서도 그간의 대한민국 정부가 섣불리 저들과 대화를 지속하지 못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자칫하면 사회주의 국가로 바뀔 수도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에는 한국 정부의 태도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지나가는 말로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대화를 계속하고 자유 왕래를 시작하기 전에 국민의식을 철저히 하고 우리의 근간이 흔들리지 않도록 유념해야 하겠다.

 

‘통일의 그날은 반드시 온다.’는 확신을 갖고 있으면서도 필자 역시 조국을 떠나 미국에 산다는 이유로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고 어떤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그저 바라만 보고 있지 않은가하는 생각을 하면서 그들의 주장에 어떤 동조도 반대도 하지 않고 입을 꼭 다물고 듣고만 있었다.

 

한 가닥 희망은 문재인 정부를 지지하던 상당수의 젊은이들이 작금의 상황을 한탄하며 문재인 정부의 현 정책에 이의와 비판을 제기하고 있으며 강력하게 조국의 미래를 위한 자신들의 생각을 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모든 정책이 그러하듯 통일 정책 또한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후에 결정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 간의 신뢰 형성과 한반도 평화 정착, 그리고 궁극적으로 통일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국민 모두가 통일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안창해. 타운뉴스발행인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