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30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파이어 운동’ 확산
11/12/18  

대학을 졸업하고 평균 이상의 소득을 갖고 있는 20, 30대 미국 직장인들 사이에서 ‘독립적인 삶을 위해 65세 은퇴까지 기다려선 안 된다’는 ‘파이어 운동(FIRE·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이 확산되고 있다.

 

6일 ‘동아일보’가 월스트리트저널(WSJ)을 인용해 전한 바에 따르면 파이어족은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먹거리를 스스로 재배하고 작은 집에 살거나 오래된 차를 타며 금융 전문가들의 권장 저축액(소득의 15%)의 3∼5배인 50∼70%를 저축한다.

 

미국 엘리트 젊은이들이 파이어 문화에 빠져드는 건 일에 대한 불만, 높은 청년실업률, 학자금 대출 부담, 사회안전망 축소, 경제적 불확실성 확대 등과 관련이 있다. 얼리샤 머널 보스턴칼리지 은퇴연구센터장은 “젊은이들은 (소득, 부채 등) 경제적으로 거의 모든 면에서 부모나 할아버지 세대보다 뒤처져 있다”고 말했다. 소득이 늘면 ‘부의 효과(Wealth effect)’가 발생해 소비가 늘어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불안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오히려 저축률이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위기 이후 9년 반 넘게 이어진 금융시장 호황으로 종잣돈만 넉넉하면 금융투자로 여생을 보낼 수 있다는 ‘불 마켓(bull market·상승 장세) 환상’도 커졌다.



하지만 조기 은퇴의 현실은 말처럼 낭만적이진 않다. 한창 나이에 사회를 떠나 홀로 생활하면서 겪는 사회적 소외, 절약에 대한 집착 등의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이도 적지 않다. 파이어족인 브랜던 갠치 씨(36)는 “아내가 10달러짜리 샌드위치 대신 15달러짜리 메인 코스를 주문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말했다.

 

재무적 안정을 원하며 조기 은퇴를 하는 것이 오히려 재무적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시장 침체나 높은 인플레이션, 예상치 못한 의료비 등이 발생할 경우 계획이 어그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어족은 “은퇴 첫해 자산의 4.5%를 인출하고 이후 매년 물가상승률만큼을 더해 인출하면 된다”며 금융전문가 윌리엄 벵건 씨(71)의 ‘4.5%의 법칙’을 거론한다. 하지만 정작 벵건 씨는 WSJ 인터뷰에서 “내 법칙은 세금 공제 혜택을 받는 퇴직연금인 401(k)과 개인연금 수령자들의 30년 정도의 삶을 위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유명 재테크 전문가인 수지 오먼 씨는 35세에 은퇴해 여유 있게 살려면 500만∼1000만 달러는 모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재러드 딜리언 몰딘이코노믹스 투자전략가는 블룸버그뉴스 기고를 통해 “저축과 투자는 매일 직장에 출근하지 않기 위한 게 아니라 미래 소비나 기부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