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과 브릭스(BRICS)
11/14/22  

지난 한 달여 동안 매체에 자주 등장한 네 나라가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2022년 2월부터 9개월째 우크라이나 동남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으며 핵 전술무기 사용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연일 뉴스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열린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하고 장기 집권의 틀을 마련했다. 지난 11월 8일 시진핑은 군복을 입고 나타나 본격적인 대만과의 전쟁 준비를 언급했다. 그는 “전 군은 모든 힘을 전투에 집중하고, 전투를 지향해 힘을 쏟고, 싸워서 이기는 능력을 신속히 제고하라”고 주문했다. 이어 “중국 안보 정세의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군사 투쟁의 임무가 막중하다”면서 “국방과 군대를 현대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도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브라질에는 이제 막 선거를 끝내고 새로운 대통령이 등장했다. 사실 그는 새로운 대통령이 아니다. 2002년 대선에서 3전 4기 끝에 대통령에 당선됐다. 룰라 정부는 빈곤층 해소를 위한 분배 정책을 펼치며 호응을 얻었고, 2006년 재선에도 성공했다. 집권 기간 연평균 4%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브라질의 성장을 이끌었다. 임기를 마치고 물러날 당시 지지율은 80%대에 달할 정도였다. 그러나 룰라는 재임시절 뇌물수수와 돈세탁 혐의로 1·2심에서 징역형을 받았고 2018년 수감됐다. 지난해 초 대법원이 기존 유죄판결을 무효화하면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고, 이번에 3선에 성공한 것이다. 한때 브라질을 세계 경제 8위까지 끌어 올리며 성장과 분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던 '룰라의 기적'이 부활할지 지켜볼 일이다.

인도에서는 지난 10월 30일 한국에서 있었던 이태원 참사 바로 다음 날, 다리가 무너져 140여 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동시 수용이 150명에 불과한 보행자 전용 다리에 사고 당시 500명이 동시에 올라서 있었다고 한다. 인도의 붕괴 사고는 그치지 않고 있어 아직도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으나 그들의 컴퓨터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네 나라에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을 더하면 G7(서방 7개 선진국)에 대항하는 신흥 경제국 공동체 '브릭스'(BRICS)가 된다.

서방 7개 선진국, G7은 1975년 두 차례의 원유 위기에 놀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 6개국 정상들이 모여 세계 경제 재건을 논의한 데서 출발했다. 1976년 캐나다가 합류하면서 G7이 되었다. 이들 국가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총재가 1년에 두세 차례씩 회동, 세계 경제 향방과 각국 간의 경제 정책 협조 조정 문제를 논의하는 회동을 G7 회의라고 한다. G7은 이와 함께 1년에 한 번씩 각국 대통령 및 총리가 참가하는 G7 정상회담도 개최해오고 있다. 그러나 G7은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정책을 펴기 시작하면서 힘이 약화되었고,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다른 G7 국가들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었던 다수의 국가들이 앞다투어 브릭스 합류를 원하고 있다. 이미 이란, 아르헨티나가 가입 신청을 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튀르키예, 이집트도 기회를 엿보고 있다.

브릭스 합류 국가들은 점점 늘어날 전망이고 명칭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목표는 주요 7개국(G7)으로 불리는 '서방 7개 선진국'에 버금가는 경제대국 모임을 만드는 것이다. '확대된 브릭스'의 경제 규모는 십여 년 내에 G7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게 되면 그만큼 국제무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신흥 경제대국 클럽을 이끌 4인방은 바로 러시아, 중국, 인도, 브라질이다.

이처럼 과거의 세계가 이념으로 나뉘어져 냉전 시대를 구축했다면 오늘날의 세계는 두 개의 경제 블록으로 나뉘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 틈바구니에서 국익을 도모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12개 경제 강국 가운데 G7에도 브릭스에도 속하지 않은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그런 만큼 다른 한편으로는 두 그룹 중 그 어느 편에도 속해 있지 않기 때문에 국익을 위한 운신의 폭을 넓힐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법은 탄탄한 경제 기반을 바탕으로 한 국제간의 교류와 협력이다. 이에 맞춰 국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현명한 방안을 모색할 때이다.

안창해. 타운뉴스 발행인
목록으로